여행이야기

삼족오와 두꺼비

추바이 2008. 3. 6. 21:09
******삼오조 [삼족오<三足烏>]****





三足烏, 즉 풀이하면 "세발(三足)달린 까마귀(烏)"이다.
고대의 우리민족은 까마귀를 "신(神)의 사자(使者)"로 귀히 여겼다.
중국신화 에서는 까마귀를 "현조(玄鳥)"로 북방을 지키는 새로 인식한다. 바로 오행사상에서 나온 것인데, 북방을 검정색으로 나타내기 때문이다. 또한 북방은 오행(五行)에서 수(水)를 차지하고 있고, 이 水의 의미는 "탄생과 시작"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신의 전령인 성스런 신물(神物)에 왜 발이 세 개가 달린 걸까?
이는 우리 고유의 삼사상(三思想)에 유래한다고 보여진다.
바로 삼신을 일컷는 것으로 완성의 숫자로 삼(三)을 숭상한 것이다. 천지인(天地人)이라는 만물의 완성체를 가장 완전한 것으로 인식하여, 삼신사상이 유래 되었는데, 단군조선시대에는 이러한 삼사상에 입각하여, 국가의 기틀을 삼조선으로 삼아, 일명 진한, 마한, 번한으로 칭하기도 하였던 것이다.
발(足)이 세 개인 것은 이 삼족오 말고도, "삼족정(三足鼎)"라는 것이 단군 조선의 유물로 나타나고 있다."세발달린 솥"은 단군왕검시대의 제기(祭器)로 국가를 다스리는 이념을 표현한 것이다. 이러한 국가 치도(治道)의 이념을 상징한 것이 "세발달린 솥"이라면, 군왕 즉 단군왕검을 상징한 왕가의 문양이 바로 "세발달린 까마귀"인 것이다.
발이 두 개인 신의 전령 까마귀는 단순히 천(天)과 지(地) 즉 신의 뜻만을 전달하는 의미이지만, 이 불완성체의 까마귀에 인간을 상징하는 발 하나를 더 붙여 "세발달린 까마귀"가 되어, 천지인(天地人)을 의미하는 완성체적인 "신의 전령"이 된 것이다.


"삼족오"는 태양에 살면서 태양의 불을 먹고 사는 태양의 전령으로 전설에 나타나는데, 태양은 바로 하늘 혹은 밝음을 상징하는 것으로, 더 올라가면, 환(桓)이 되는 것이고, 배달(밝달)이 되는 것이다. 스스로 하늘에서 내려온 천손족(天孫族)임을 자처하던 고대의 조상들은 하늘과 땅을 이어주는 이 "삼족오"를 숭상의 대상으로, 신앙의 대상으로 여기었던 것이다. 하늘의 뜻을 이어 지상의 왕노릇을 하는 단군의 상징물로 이만한 것이 어디 있겠는가?

출저 :  http://sarim.changwon.ac.kr/~dodemy
====================================================================================
세 발 까마귀는 원래 동이족이 숭상하던 신성한 새.
고대인들은 세 발 달린 까마귀가 태양 속에 살고 있다고 믿었으며, 한님이나 해신을 상징하는 동물로 단군의 지팡이 머리에 까마귀를 조각함으로써 단군이 신의 사자임을 나타내었다.
상고시대 동이족은 중화족을 압도하여 동아시아의 맹주의 역할을 하였으나 후에 한족과의 경쟁에 밀리게 되고 중국의 사상의 영향으로 '한족을 핍박하던 동이의 상징'인 까마귀에 대한 한족의 시각이 우리 문화로 스며들게 되었다.

고구려 고분벽화에서 나타나는 삼족오, 그리고 까마귀의 모습을 한 솟대와 정월 대보름의 까마귀제 등에서 신조로서의 까마귀의 흔적을 찾을 수 있다.
고구려 벽화에는 풍속화, 초상화, 사신도 등과 함께 성신도(星辰圖:천체의 그림)가 많다. 성신도에는 해와 달, 별자리 등이 그려져 있고 해 속에는 까마귀가 그려져 있다. 이 까마귀가 삼족오이다. 해 속의 까마귀는 달 속의 개구리(金蛙, 혹은 두꺼비)와 한 쌍을 이루고 있다. 이 까마귀는 검은 색으로 되어 있고 다리가 셋이다. 이 세 발 달린 까마귀는 해의 상징으로 양(陽)의 뜻이고 개구리로 상징되는 달은 음(陰)의 뜻이다. 즉, 음양론의 한 표현이기도 하다. 삼족오는 고구려 쌍영총, 각저총, 덕흥리 1호, 2호 고분, 개마총(鎧馬塚), 강서중묘, 천왕지신총, 장천 1호분, 무용총, 약수리 벽화고분, 그리고 다섯무덤(오회분) 4호묘, 5호묘 등에 그려져 있다.▣

:::::::::::::::::::::::::::::::::::::::::::::

태양에서 산다는 신화속의 세 발 달린 새, "三足烏"는



까마귀를 상징한다.



중국의 고서인 《초사(楚辭)》와《산해경(山海經)》..



태양속에 까마귀가 살며



천계와 인계를 건너다닌다는 말이 있다.



우리나라에도 삼족오에 대한 기록이 있다.



『갑인 7년(bc 1987),



세 발 달린 까마귀가 궁전의 뜰 안으로 들어왔는데



그 날개의 넓이가 석 자나 되었다.



-甲寅七年 三足烏飛入苑中 其翼廣三尺--



《단군세기》,《단기고사》』"三足烏" 는..



신과 인간을 연결하는 매게체적 상징성을 가지고 있으며



동양권의 샤먼들에게 중요한 상징물이 되어왔다.


  :::::::::::::::::::::
삼오조 [삼족오<三足烏>] - 설명
http://wondreams.hihome.com/temasogo_3joko.htm

'여행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울어주는 사람  (0) 2008.04.04
모처럼만에 봄비가...  (0) 2008.03.23
해 먹는 두꺼비???  (0) 2008.03.06
이진경, "생명의 정치학을 상상하자"(언론보도자료)  (0) 2008.02.25
유월/ 이바라기 노리코...  (0) 2008.02.18